남의 말을 경청하는 사람은 어디서나 사랑받을 뿐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 지식을 얻게 된다. -윌슨 마즈너-

전체 글 107

73년 만에 세워진 백선엽 장군 동상

2023년 7월 5일 * 73년 만에 세워진 백선엽 장군 동상 * 1950년 다부동 전투가 벌어진 지 73년 만에 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의 동상이 7월 5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 세워졌다 다부동은 6·25 전쟁의 최대 격전지 백선엽 장군은 제1사단장으로 8000여 명의 국군을 이끌고 북한군 3개 사단 2만여 명의 총공세를 막아냈다. 만일 다부동에서 무너졌다면 현재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백선엽 장군 동상은 백선엽장군동상건립추진위원회(한국자유총연맹 경북지부)가 주도해 국민 성금을 모으고, 국가보훈부와 경북도 등 후원을 받아 5억원을 들여 제작했다. 백 장군이 동서남북 사방으로 나라를 지켰다는 의미를 담아 동상이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국내/경상북도 2023.11.30

남평문씨 세거지 蓮花,凌霄花

2023년 6월 29일 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본리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남평문씨의 동족마을 세거지는 대구광역시 시도민속문화재(1995년 05월 12일 지정)로 지정되었다 11동. 11,701㎡. 약 300년 전에 남평문씨인 문재철(文在徹, 監正公)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 성당동 부근에 입향(入鄕), 정착하였다. 그리고 그의 5대손 문달규(文達奎)가 이곳으로 분가(分家), 정주(定住)하였다. 이곳은 남평문씨가 누대에 세거(世居)해온 전형적인 동성촌락(同姓村落)이다. 이 마을은 조선 말기의 양반가옥 9동과 별당(別堂)양식의 정자 2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들은 건축연대가 200년 미만이나 전통적인 영남지방 양반가옥의 정미(精微)한 고졸미(古拙美)를 갖추고 있..

국내/대구 2023.06.30

원앙(鴛鴦)

원앙새 2023년 2월 20일 원산지는 유럽과 아시아이고, 주로 숲 속의 물 고인 곳이나 작은 연못, 강, 저수지, 호수, 계곡의 개울가 등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경기도 광릉에서 발견할 수 있다. 수컷은 털갈이 시기나 늦여름에 무리를 짓기도 하지만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며, 낮에는 그늘진 곳에서 지내다가 새벽과 해질 무렵에 먹이를 찾는다. 식성은 잡식으로, 상수리나무와 달팽이, 농작물, 나무열매류, 풀 뿌리, 줄기, 종자 등을 먹는다. 번식할 때에는 4월 하순부터 7월에 나무 구멍을 이용하는데, 때로는 쓰러진 나무 밑이나 우거진 풀 속에서도 새끼를 친다. 한배에는 약 9~12(평균 9.5)개의 알을 낳으며 약 28~30일간 잠깐 동안의 낮 시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온종일 암컷이 알을 품는다. 부화 뒤 새..

국내/조류사진 2023.02.22

물수리

요약 해안과 내륙 수로를 따라 물고리를 잡아먹으면서 생활하는 크고 날개가 긴 조류. 일본과 인도, 대한민국 등이 원산지이다. 크기는 54~64cm 정도, 무게는 2~4.2kg 정도이다. 식성은 육식이다. 포란기간은 약 35일이다. 생태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번식하며, 남아메리카에는 겨울에만 나타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이 종의 수가 1900년 이후로 급격히 줄었는데 살충제인 DDT의 영향 때문으로 생각되며, 1980년대 들어와서 다시 수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영국에서는 1910년에 멸종되었다가 1959년에 다시 나타났다. 사냥할 때에는 발톱을 적극 활용하는데, 물 위를 날면서 먹이를 찾다가 먹이를 발견하면 길고 구부러진 발톱으로 잽싸게 먹이를 잡는다. 이때 발톱 밑에 날카로운 가시들로 인해 먹..

국내/조류사진 2023.02.14